Physical Address
13,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06376
Physical Address
13,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06376

폭염 응급키트는 응급 상황에서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 환자의 생명과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응급도구로, 정확한 사용법 숙지가 필수적이다.
폭염은 기후위기의 일환으로 매년 강도를 더해가고 있으며, 길거리, 공사현장, 야외 행사장 등 다양한 실외 공간에서 온열질환 응급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여름 동안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2,100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상당수가 실외에서 쓰러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폭염 응급키트는 폭염에 따른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환자를 위한 응급처치용 도구가 모여 있는 비상 키트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사전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해당 키트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대부분의 제품에는 간단한 안내문, 그림 매뉴얼 또는 QR코드 영상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폭염 응급키트의 구성은 제조사나 용도(비치형, 산업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아래의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 구성품 | 목적 및 사용법 | 
|---|---|
| 즉시냉각용 아이스팩 | 내용물을 눌러 화학 반응으로 냉각, 목·겨드랑이·사타구니 등 대혈관 부위에 적용해 중심체온 하강 | 
| 쿨링시트 또는 냉타월 | 이마, 팔 안쪽 등 피부에 직접 부착하여 열 배출 보조 | 
| 휴대용 부채 또는 손풍기 | 체표면의 열 발산을 돕기 위해 사용 | 
| 전해질 보충 음료 | 의식이 있는 경우, 탈수 및 전해질 손실을 보충 | 
| 응급처치 지침서 | 비전문가도 따라 할 수 있는 응급처치 순서 설명 | 
| 의료용 장갑 | 감염 예방 및 위생 보호용 | 
※ 일부 제품에는 쿨조끼, 쿨토시, 체온계 등이 포함되기도 하나, 이는 상황과 비치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폭염 응급환자는 빠른 체온 하강과 119 구조요청이 핵심이다.
아래 절차는 질병관리청 및 대한응급의학회가 권고하는 기본 매뉴얼을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폭염 중 쓰러진 사람이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경우, 온열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 증상 | 설명 | 
|---|---|
| 어지러움, 두통, 구토 | 열탈진의 초기 증상 | 
| 피부가 뜨겁고 건조함 | 열사병 가능성 (땀이 나지 않음) | 
| 의식 저하, 혼수 상태 | 심각한 상태, 즉시 병원 이송 필요 | 
| 빠른 호흡, 빠른 맥박 | 체온 상승으로 인한 대사 항진 | 
대다수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는 여름철 폭염 대응 체계의 일환으로 응급키트를 비치하고 있다.
각 지자체의 무더위쉼터 및 안전대응시설 위치 안내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며, 현장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표지로 표시된다.
시설 관리자에게 요청하면 바로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되어 있다.
폭염 응급환자를 목격했을 때, 그 즉시 취할 수 있는 행동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
폭염 응급키트는 적절히 활용될 경우 구조대 도착 전까지 환자의 체온을 낮추고, 탈수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상 상황에서는 당황하지 말고, 기본 원칙과 절차를 침착하게 따르는 것이 최선의 대응이다.
비치된 키트가 있다면, 누구든 그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생명을 지키는 데 자격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정확한 정보와 절차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