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13,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06376

역대 대통령 득표율

역대 대통령 득표율 모두 알아보자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 득표율은 어떻게 될까? 대통령 선거는 국가의 정치 체제와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중요한 제도이다. 역대 대통령 선거의 득표율과 선거 방식을 살펴보면, 정치적 변화와 국민의 선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래는 제1대부터 제20대까지의 대통령 선거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제1대 대통령 선거 (1948년)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 선거일: 1948년 7월 20일
  • 선거 방식: 국회 간접선거
  • 당선자: 이승만 (무소속)
  • 득표율: 91.8%
  • 특이사항: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위한 제헌국회에서 실시된 간접선거로,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제2대 대통령 선거 (1952년)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 선거일: 1952년 8월 5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개헌 후)
  • 당선자: 이승만 (자유당)
  • 득표율: 74.6%
  • 특이사항: 6.25 전쟁 중 개헌을 통해 직선제로 변경되었으며, 이승만이 재선하였다.

제3대 대통령 선거 (1956년)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 선거일: 1956년 5월 15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이승만 (자유당)
  • 득표율: 70.0%
  • 특이사항: 이승만이 세 번째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상대 후보였던 조봉암 후보가 30%의 득표율로 선전하였다.

제4대 대통령 선거 (1960년)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득표율, 이승만 전대통령
  • 선거일: 1960년 3월 15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이승만 (자유당)
  • 득표율: 100%
  • 특이사항: 야당 후보 조병옥의 사망으로 이승만이 단독 후보로 출마하였으며, 부정선거로 인해 4.19 혁명이 발생하여 이승만은 하야하였다.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 선거일: 1963년 10월 15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 득표율: 46.6%
  • 특이사항: 5.16 군사정변 이후 정치 활동이 재개되어 박정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제6대 대통령 선거 (1967년)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 선거일: 1967년 5월 3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 득표율: 51.4%
  • 특이사항: 박정희가 재선하였다.

제7대 대통령 선거 (1971년)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 선거일: 1971년 4월 27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 득표율: 53.2%
  • 특이사항: 야당 후보 김대중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박정희가 3선하였다.

제8대 대통령 선거 (1972년)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 선거일: 1972년 12월 23일
  • 선거 방식: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
  •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 득표율: 99.9%
  • 특이사항: 유신헌법에 따라 간접선거로 변경되었으며, 박정희가 4선하였다.

제9대 대통령 선거 (1978년)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득표율, 박정희 전대통령
  • 선거일: 1978년 7월 6일
  • 선거 방식: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
  •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 득표율: 99.8%
  • 특이사항: 간접선거 방식으로 박정희가 5선 하였으나, 1979년 10.26 사건으로 피살되었다.

제10대 대통령 선거 (1979년)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최규하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최규하 전대통령
  • 선거일: 1979년 12월 6일
  • 선거 방식: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
  • 당선자: 최규하 (무소속)
  • 득표율: 96.3%
  • 특이사항: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 이후 실시된 선거로, 최규하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제11대 대통령 선거 (1980년)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전두환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전두환 전대통령
  • 선거일: 1980년 8월 27일
  • 선거 방식: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
  • 당선자: 전두환 (무소속)
  • 득표율: 99.4%
  • 특이사항: 12.12 군사반란과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 이후 전두환이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제12대 대통령 선거 (1981년)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전두환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전두환 전대통령
  • 선거일: 1981년 2월 25일
  • 선거 방식: 대통령선거인단 간접선거
  • 당선자: 전두환 (민주정의당)
  • 득표율: 90.0%
  • 특이사항: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간접선거로 실시되었으며, 전두환이 재선하였다.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

역대 대통령 선거, 노태우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노태우 전대통령
  • 선거일: 1987년 12월 16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노태우 (민주정의당)
  • 득표율: 36.6%
  • 특이사항: 6월 민주항쟁 이후 개헌을 통해 직선제로 복귀하였으며,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

역대 대통령 선거, 김영삼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김영삼 전대통령
  • 선거일: 1992년 12월 18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김영삼 (민주자유당)
  • 득표율: 41.9%
  • 특이사항: 문민정부의 출범으로, 김영삼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

역대 대통령 선거, 김대중 전대통령
역대 대통령 선거, 김대중 전대통령
  • 선거일: 1997년 12월 18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 득표율: 40.3%
  • 특이사항: 김대중이 대통령에 당선되며,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

노무현 전대통령
노무현 전대통령
  • 선거일: 2002년 12월 19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 득표율: 48.9%
  • 특이사항: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되며, 정치 개혁을 강조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이명박 전대통령
이명박 전대통령
  • 선거일: 2007년 12월 19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이명박 (한나라당)
  • 득표율: 48.7%
  • 특이사항: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되며, 경제 성장과 실용주의를 강조하였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

박근혜 전대통령
박근혜 전대통령
  • 선거일: 2012년 12월 19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박근혜 (새누리당)
  • 득표율: 51.6%
  • 특이사항: 박근혜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 (2017년)

문재인 전대통령
문재인 전대통령
  • 선거일: 2017년 5월 9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 득표율: 41.1%
  • 특이사항: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한 조기 선거로, 문재인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2022년)

윤석열 전대통령
윤석열 전대통령
  • 선거일: 2022년 3월 9일
  • 선거 방식: 국민 직선제
  • 당선자: 윤석열 (국민의힘)
  • 득표율: 48.6%
  • 특이사항: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불과 0.73%포인트표 차이로 박빙의 승부를 벌였다.

출처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