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13,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06376

엉덩이 기억상실증

당신의 몸을 망치는 엉덩이 기억상실증, 자가 테스트와 해결법

엉덩이 기억상실증이란 무엇인가?

‘엉덩이 기억상실증(Gluteal Amnesia)’이란 용어는 피트니스계와 물리치료계에서 점점 더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 쉽게 말하면, 엉덩이 근육(둔근)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활성화가 저하된 상태를 뜻한다. 이 용어는 유명 운동 생리학자 Dr. Stuart McGill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둔근이 마치 존재를 잊은 것처럼 작동하지 않는다”는 비유에서 유래되었다.

엉덩이 근육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이며, 자세 안정, 보행, 체형 유지, 그리고 요통 방지 등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신체는 허리, 무릎, 햄스트링 등 다른 부위로 보상작용을 하게 되고, 결국 통증이나 자세 불균형으로 이어진다.

미국 물리치료사 협회(APTA)는 “장시간 앉은 자세는 둔근의 신경자극을 감소시켜 운동기능 저하 및 만성 요통과 관련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출처: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 APTA


왜 엉덩이는 ‘기억’을 잃는가?

앉아 있는 시간이 너무 많다

현대인의 대부분은 하루 7~10시간을 앉아서 보낸다. 이 과정에서 엉덩이 근육은 압박을 받으며 비활성화되고, 신경 전달도 둔화된다. 마치 잠을 자는 것처럼 기능을 멈춘다.

운동을 해도 엉덩이를 못 쓰는 경우

스쿼트를 해도, 런지를 해도 엉덩이에 전혀 힘이 들어가지 않는 느낌이 있다면 의심해야 한다.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단순한 근력 부족이 아닌, 두뇌와 근육 간 신경 회로의 단절이다. 잘못된 자세로 운동하면 기억을 더 잃게 된다.


나도 혹시? 엉덩이 기억상실증 자가 테스트

다음 테스트로 본인의 상태를 점검해보자. 이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엉덩이 기억상실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테스트 1. 누워서 브릿지를 해보자

  •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브릿지 동작을 한다.
  • 이때 허벅지 뒤쪽(햄스트링)이나 허리에 힘이 먼저 들어간다면 문제이다.
    → 엉덩이가 ‘잠들어 있다’.

테스트 2. 한발 스탠스에서 중심이 흔들린다

  • 한발로 섰을 때 골반이 삐뚤어지거나 중심을 못 잡는다면 엉덩이 근육이 제 기능을 못 하는 것이다.

테스트 3. 계단 오르기에서 허벅지가 먼저 힘을 쓴다

  • 계단을 오를 때 허벅지만 뻐근하고 엉덩이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느낌이라면, 둔근이 거의 비활성 상태다.

2020년 미국 스포츠의학저널(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에서는 “Gluteus Maximus의 기능 저하는 보행 불균형, 골반 틀어짐, 무릎 통증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고 밝혔다.
출처: JSSM


엉덩이 기억상실증의 위험성

요통의 주요 원인

  • 허리 통증이 잦은 사람의 상당수가 둔근이 약화된 상태라는 연구 결과가 많다.
  • 엉덩이는 허리와 연결된 기둥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둔근이 무너지면 허리도 무너진다.
엉덩이 기억상실증, 요통 원인
엉덩이 기억상실증, 요통 원인

무릎 및 골반 통증

  • 엉덩이 근육이 무력화되면 보상적으로 허벅지 앞쪽과 무릎 관절에 부담이 가며, 골반도 틀어진다.
  • 특히 중년의 나이에서는 이로 인한 통증을 퇴행성 통증으로 오인하고 방치하기 쉽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기억’을 되살리는 방법은 두 가지뿐이다

  1. 신경 회로를 재활성화
  2. 올바른 자극을 반복적으로 전달

즉, 운동을 해야 하는데 아무 운동이 아닌, “둔근에 정확하게 자극이 가는 운동”을 해야 한다. 아래는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루틴이다.


엉덩이 깨우는 초간단 루틴 3가지

엉덩이를 깨우는 루틴
엉덩이를 깨우는 루틴

글루트 브릿지 (Glute Bridge)

  • 방법: 등을 대고 누워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를 들어올린다.
  • 주의: 허리가 아프면 중단 / 엉덩이에만 힘을 준다.

벽 밀기 힙 액티베이션

  • 방법: 벽을 뒤로 등지고 서서 한 발을 들어 벽에 댄다. 엉덩이로 벽을 미는 느낌을 준다.
  • 효과: 둔근 신경을 직접 자극하는 데 탁월하다.

몬스터 워크 (미니밴드 걷기)

  • 방법: 밴드를 무릎에 끼우고 옆으로 걷기.
  • 효과: 엉덩이 옆쪽(중둔근)까지 자극 가능.

운동 전후 이것만은 기억하자

  • 운동 전엔 엉덩이 근육을 마사지 볼이나 폼롤러로 자극해서 혈류를 먼저 깨워줘야 한다.
  • 운동 후에는 허벅지가 아닌 엉덩이에 자극이 왔는지 꼭 체크하자.
  • 처음엔 감각이 없을 수 있지만 3~4일만 꾸준히 하면 놀랄 만큼 감각이 살아난다.

엉덩이가 살아야 건강도 산다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현대인의 생활 습관으로 인한 심각한 건강 이슈이다. 허리통증, 무릎통증, 골반틀어짐 등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엉덩이 근육의 기능 저하가 있다.

이제 내 몸이 보내는 SOS에 응답해보자. 자가 테스트부터 간단한 운동까지, 오늘부터 실천할 수 있다.
당신의 엉덩이는 당신을 기억하고 있는가?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